본문 바로가기
전공

고려시대의 교육기관

by 기타치는공고쌤 2020. 4. 24.
728x90
반응형

고려시대의 교육기관

1. 국자감(중앙, 고등, 관학, 문묘로심)

가. 설립 

최고 학부의 국립 교육기관으로 제6대 성종11년(992) 12월 문치주의에 입각한 유교적 교양에 투철한 인재의 양성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국가 관리 양성

나. 내용

1) 6학 : 국자학, 태학, 사문학, 율학, 서학, 산학

2) 잡학 : 기능적 율, 서, 산

다. 입학자격

1) 국자학 : 문무관 3품 이상의 자제

2) 태학 : 문무관 5품 이상의 자제

3) 사문학 : 훈관 3품 이상의 자제

4) 율, 서, 산학 : 문무관 7품 이상의 자제

5) 잡학 : 평민 ~ 문무관 8품 이하의 자제(7품 이상자 중에서 원하는자는 허락하였음)

훗날 흡수되어 경사6학 + 강예(무학)제 가 되어 7재로 불림

라. 교육내용

국자학, 태학, 사문학은 주역, 상서, 주례, 예기, 모시, 춘추, 좌전, 공양전, 곡량전 등을 각각 일경으로 하고, 효경과 논어는 필수로 하도록 과하였고, 율학에는 율령, 서학에는 팔서, 산학에는 산술을 가르침

마. 수업연한

4~9년으로 하고 박사와 조교를 두었으나, 잡학에서는 6년으로 하고 박사만 두었다.

*행정관리직 격인 판사, 제주, 사업, 승, 주부, 녹사가 있었음

바. 명칭 변경과정

국자감(성종) -> 국학(충령왕) -> 성균감(충렬왕) -> 성균관(충렬왕) -> 국자감(공민왕) -> 성균관(공민왕)

사. 기타시설

유생들이 강학하는 돈화당, 도서관인 청연각, 휴식시설인 보문각이 설치됨

 

*예종때에는 사학의 발전으로 국학이 위축되자 국자감을 국학으로 개칭하고 그 속에 최충의 9재를 본 떠 교과별 전문강좌 격인 문무7재를 둠. 또한 양사의 일과 그 비용을 분담하는 기관인 양현고를 처음으로 국자감에 세우는 등 국자감 발전을 장려하였음. 공민왕은 7재와 비슷한 것으로 5경4서재 즉, 9재를 두어 문무교육을 장려하였음.

 

*문묘를 모시는 곳의 기준

한지역에 한곳, 관학 우선, 상급학교 우선

고려의 국자감, 향교  조선의 성균관, 향교

 

2. 학당(중앙, 중등, 관학, 문묘없음)

가. 개경에 세운 중등교육기관으로서 향교와 같은 정도의 교육기관

나. 동서학당(수도양쪽 동서에 세운 2개교로 원종2년)과 5부학당(동, 서, 남, 북, 중앙에 세운 5개교로 공양왕때 정몽주의 건의로 설립)이 있다.

다. 국자감에 입학하지 못한 개경의 학도들을 모아 유교중심교육을 하였다.

 

3. 향교(향학, 지방, 중등, 관학, 문묘모심)

가. 지방에 세운 중등교육기관

나. 성종과 인종때에는 각 군현에 하나씩 두어 지방민과 선비에게 유교경정 중심의 교육

다. 입학자격은 국자감의 율, 서 산의 3학과 같아서 8품이하의 자손과 서민들에게도 입학을 허가하였는데 성적이 우수하면 국자감에 입학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짐

라. 향풍을 순화하는 사회교육기관의 역할도 수행함

마. 기술(실업)교육도 병행함

 

4. 12공도(지방, 고등, 사학, 문묘없음)

가. 해동공자 최충이 세운 문헌공도를 비롯한 12개의 사립학교 기관으로 고등 교육기관이었다(오늘날의 사립대학격)

나. 교육목적은 국자감과 같이 관리와 인재 양성을 위한 과거준비 위주였다.

 

5. 서당(전국적, 초등, 사학, 문묘없음)  (경관, 서사)

서당은 지방의 서민계급의 자제를 수용하고 교육하는 사설 지방 초등교육기관으로 서민교육의 보급과 민중교화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728x90
반응형

댓글